[네트워크 구성 및 관리]기말고사 시험 정리
류명운
·2014. 12. 11. 08:12
9. VLAN
스위치는 vlan마다 주소 테이블(MAC주소와 소속vlan정보)을 갖고 있어 어느 한 vlan에 속한 포트로 프레임이 도달하면 스위치는 learning과 filtering, forwarding 과정을 해당 vlan을 위해서만 수행
VLAN의 장점 4가지 1.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2계층=collision domian분리 3계층,스위치vlan=브로드캐스트 domain분리 ->다른vlan통신:라우터의fa의MAC주소 같은vlan:상대방의MAC주소 2. Security ->vlan간의 통신은 라우터를 이용하지 않으면 그룹 내의 사용자와 그룹 밖의 사용자간에 통신 불가능 3. Performance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뿐 아니라 트래픽을 특정 사용자 그룹으로 제한가능->성능향상 4. Network 관리 ->소규모관리(error찾기 쉬움) ->논리적인 그룹을 제공(워크스테이션이나 device의 이동이나 추가를 쉽게 가능) ->물리적으로 케이블 접속을 변경하지 않아도 LAN구성을 쉽게 변경가능 ->관리자가 사용자를 여러 VLAN에 가입가능(LAN구성이 자유로움)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기 쉬움 |
9.1 VLAN 종류
static port Based VLAN ->스위치의 포트로 VLAN을 나누어 연결한 포트에 따라 VLAN구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짐 ->이미 하나의 VLAN에 속한 포트가 다른 VLAN에 속하는 것을 허용 ->System에나 사용자에 무관하게 같은 포트에 연결된 System이나 사용자는 동일 VLAN소속 ->VLAN에 따른 포트 구성만 하면 되므로 관리가 쉽고 단순하다. |
dynamic 1. MAC Address Based VLAN ->장비의 MAC주소를 기반으로 VLAN을 구성 ->맥 주소를 기반으로 하므로 스위치에 연결된 포트가 변경되더라도 VLAN구성이 변경되지 않음 ->사용자를 찾기는 쉽지만 장비마다 VLAN구성을 해주어야 하므로 관리자가 관리하기가 어렵다 2. Protocol Based VLAN(관리자가 오류가 나면 가장 찾기쉬움) ->MAC Address based VLAN과 같이 장비의 3계층 주소를 기반으로 VLAN을 구성하는 방법 ->서브넷 주소나 IP 주소를 기반으로 하므로 스위치에 연결된 포트가 변경되도 VLAN구성이 변경x ->관리하기 어려워 현재는 많이 쓰이지 않음 |
VLAN 구성방법
static vlan -Default VLAN :vlan1 ->공장 출하 시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스위치의 모든 포트가 포함 ->CDP와 VTP에서 모든 포트로 정보를 보내기 위해 사용 ->지울 수 없으며 스위치의 관리를 위해 주로 사용 ->스위치의 IP주소가 vlan1에 정의됨 명령어 ->#vlan database (vlan configuration mode접속) ->(vlan)#vlan number(vlan생성) ->(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vlan_number(특정 인터페이스 지정) ->#show vlan, #show vlan brief, #show vlan id 2(현재 구성되어 있는 vlan의 정보 보기) Flash에서 vlan데이터베이스 파일 삭제->#delete flash:vlan.dat |
9.2 Trunk & Frame Tagging(프레임이 어디 소속인지 표시)
스위치와 스위치, 스위치와 라우터 사이에 vlan마다 독립적인 연결을 두면 스위치의 포트를 낭비하게 됨 ->스위치에 trunk의 개념을 도입하여 스위치와 스위치 또는 스위치와 라우터 사이의 연결을 trunk로 하나의 링크에서 여러 vlan의 프레임을 전송 가능하도록 함(포트를 줄일 수 있음) |
trunk내의 프레임을 vlan에 따라 구분하기 위하여 frame tagging기법을 사용 ->ISL방법 :cisco에서 독점 사용 ISL 헤더에 10비트의 vlan id 정보 포함 ->IEEE 802.1Q의 표준화된 방법 :TPID에는 IEEE 802.1Q임을 나타내는정보, TCI에는 12비트의 vlan id정보 |
Trunk 구성방법(Switch 2950에서는 IEEE 802.1Q만 지원)
ISL ->(config)#int fa0/1 ->(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isl |
IEEE 802.1Q ->(config-i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
Trunk 설정확인 #show interface fa0/1 switchport |
9.3 VTP
VTP 개념
->스위치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VLAN정보를 생성, 전달, 유지하기 위해 CISCO에서 만든 2계층 프로토콜
->각 스위치에서 구성되는 VLAN정보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위치 한대를 서버로 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삭제하면 전파하므로 일관성 있는 구성정보를 유지한다
->각 스위치에서 VLAN이름이나 VLAN종류 같은 정보를 잘못 생성할 가능성을 줄여준다
VTP도메인
->같은 VTP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로 구성되면 하나의 스위치는 하나에 도메인에 소속가능
->VTP메시지는 ISL 또는 IEEE 802.1Q로 캡슐화되어 다른 장비와 연결된 Trunk로 전송된다.
VTP 스위치 mode
Server -전체 도메인의 VLAN또는 파라미터를 생성,삭제,수정 가능 -VLAN설정내용을 NVRAM에 저장 -Server는 모든 Trunk(스위치끼리 연결, 호스트x)로 VTP메시지를 전파 -주기적으로 vlan 정보를 광고한다 |
Client -VLAN정보를 생성,삭제,수정 불가능 -받은 정보를 받아 스위치를 변경하고 이웃 스위치에게 정보를 Forward한다. |
Transparent -VTP Transparent는 VTP정보를 받아 Forward만 하고 변경x -자신의 변경사항도 다른 스위치로는 Forward하지 않음 -다른 vtp도메인과는 무관한 Local VLAN을 만들어 자신만의 vlan을 생성,삭제,수정하고 vlan설정내용저장 |
1씩 증가하는 Revision Number를 사용
->스위치에서 받은 정보가 새로운 정보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자신이 가진 번호보다 큰 번호의 메시지가 오면 새로운 메시지
->0부터 다시 시작하기 위해서는 reboot / 다른 도메인에서 생성되면 전달 불가
VTP구성방법
vtp도메인 생성 :(vlan)#vtp domain domain_name
vtp모드 설정 :(vlan)#vtp {server}
vtp구성 정보 :#show vtp status
vpt통계 정보 :#show vtp counter
9.4 Inter-VLAN Routing (vlan간의 통신을 위해)
- vlan간의 통신은 라우터의 도움이 필요(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 라우터에서도 Trunk의 개념을 사용
->라우터와 스위치의 포트 사용을 줄임
->비용을 절감
->네트워크 구성을 단순화
- Trunk에서 하나의 물리적인 링크에 여러 개의 주소를 부여하기 위해 cisco에서 Subinterface개념 도입
* 하나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안에 여러개의 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적용
Inter-VLAN routing 구성
1. Subinterface를 설정
->(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0.1
2. 라우터와 스위치 사이의 encapsulation 방법이 동일하여야 한다(dot1q or isl)
->(config-subif)#encapsulation dot1q vlan_number
3. Subinterface에 ip주소 부여
->(config-subif)#ip address ip주소 서브넷마스크
10. WAN(Wide Area Network) ->[LAN과 LAN을 연결]
LAN과 LAN을 연결하는 3가지 방법
1 전용선(leased line)을 설치하여 연결 2 이미 설치된 전화망(PSTN)을 이용하여 연결 3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만들어진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방법(데이터 네트워크) |
1. 전용선을 사용하는 방법은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만큼 케이블을 설치하고 두 LAN에서만 전적으로 사용한다 -> point-to-point연결
-> 네트워크가 2개 이상이면 네트워크토폴로지는 mesh(그물)구조
-> 케이블 수는 네트워크의 제곱만큼 필요
2. 기존에 설치된 전화망(PSTN)사용 방법은 다른사람과 공유해야 하므로 보안이 염려되나 비용이 매우 저렴
->보안문제
->비용이 매우저렴
->circuit switcheng방식사용
Circuit(노선)-switching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 전화를 받는 사람과 전화를 거는 사람 사이에 두 사람만을 위한 통신 경로를 사용한다. 다른 사람은 두 사람이 전화를 하는 동안 두 사람 누구와도 통신 불가(데이터통신에적합x)
동작3단계 1. Set up :전용 회선을 준비하는 단계(전화받기 전 벨이울림. *지체시간이 존재) ->예약의 개념으로 보면 됨. 일단 set up하고 나면 그 회선은 다른 이는 사용 불가 2. Transfer :정보를 보내는 단계(전화를 받음 *길이 정해졌기 때문에 지체시간이 없음) ->패킷을 계속 안보내도 연결은 계속 유지(채널,데이터 낭비) ->스위치는 여러 회선을 동시에 서비스 할 수 있도록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을 제공하여 사용 가능한 채널을 시간으로 나누어 차례대로 나누어 쓰도록 지원 3. Disconnect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여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을 설정하므로 사용할 데이터 채널 용량은 미리 예약되어 있는 상태. @@연결 설정 시간동안 기다려야 함. @@연결이 되면 추가 지연시간이 없이 데이터를 전송가능 @@연결이 되고 데이터 전송이 없더라도 다른 사람이 남는 자원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있음->TDM사용 |
3.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만들어진 네트워크를 이용(데이터 네트워크)
Packet-switching circult switching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 스위치는 패킷에 들어있는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교환이 이루어짐 ->데이터그램기반 시스템 :패킷마다 전체 주소 정보가 들어 있어 독립적으로 패킷의 주소를 보고 경로결정 ->virtual-circuit기반 시스템 - 2가지 장점: 미리 논리적인 경로를 설정(미리 길 설정), 자원예약x ->프로세싱 시간을 단축 |
WAN Terminology(용어가 무엇인지 정도만 알 것)
1set |
-CO(Central Office) switch :가입자를 서비스 제공자의 스위칭 네트워크에 연결시켜주는 스위치(스위치들 중 가장 경계선에 있는 스위치) -Local Loop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가정이나 회사의 가입자 전화기까지의 우선 연결 -Demarcation :서비스 공급자가 서비스에 책임져야 하는 경계선 -CPE :가입자가 서비스 제공자의 가장 가까운 CO switch와 연결하도록 해주는 장비 |
1set |
-DTE :WAN에 접속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라우터 -DCE :local loop에 가입자의 데이터를 넣어주는 장비(서비스제공자측 경계선장비) |
Analog Dialup ->구리선을 이용하는 기존의 전화망(PSTN)을 사용하는 방법
-목소리를 전송하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시그널을 통하여 데이터 트래픽 전송(따라서 모뎀이필요.)
-최대 56kbps의 전송속도
-데이터의 양이 작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
-전화요금처럼 거리, 시간대별, 지속시간에 따라 요금이 달라짐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고 구축 비용이 낮음
ISDN ->전화망의 내부 스위치가 디지털화되어 local loop이 아날로그에서 TDM기반의 디지털로 변경됨
->더 큰 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짐
->목소리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트래픽의 전송이 가능
->목소리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B채널
->B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D채널로 구성되어있음
->128kbps의 BRI서비스
->1.544Mbps 또는 2.048Mbps의 PRI서비스가 있음
->사용 요금은 전화요금과 비슷한 방식으로 책정
X.25(데이터네트웤) ->초창기 패킷 교환망에서 사용하던 대표적인 프로토콜
->고유의 주소(네트워크계층으로 네트워크 주소)를 가짐
->낮은 전송 속도의 라인을 공유하여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
->낮은 전송속도(48kbps)때문에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Frame Relay로 대체됨
->VC에는 PVC와 SVC가 있다.
->P(Permanent영구적인)VC는 특정 두 곳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항상 같은 길로 가는 방법
->SVC는 동적으로 가장 좋은 길을 선택하는 방법
->이론적으로는 SVC가 좋으나 구현이 복잡하여 실제로는 PVC가 선호된다
->에러 검사나 흐름 제어 등의 다양한 기능이 프로토콜에 포함
Frame Relay ->낮은 지연과 더 많은 대역폭을 위해
->최대 4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 제공
->목소리(높은대역폭필요) 뿐 아니라 데이터 전송도 가능
->상대적으로 에러 발생률이 낮은 환경에서 사용하기 떄문에 에러검사 등 X.25의 기능을 상당 부분 삭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에서 작동(MAC주소)
->SVC보다는 PVC를 더 선호
->저렴한 비용으로 여러 지역에 흩어져 있는 LAN을 이용하기에 좋은 방법
ATM ->광섬유를 사용함
->광섬유 사용(최대 155Mbps)
->매우 낮은 지연과 매우 높은 대역폭
->셀 교환 방식(53바이트의 고정크기/5바이트 헤더/48바이트 데이터)
->데이터를 48바이트로 쪼개기 때문에 헤더로 인한 오버헤드가 있다.
->실제 Frame Relay보다 20%정도 더 빠를 뿐이다.
DSL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는 서비스
->local loop라인이 기존 전화 연결+즉각적인 네트워크 접속데이터 연결을 함께 제공
->데이터는 높은 대역폭 링크로 멀티플렉스되어 전송(8.192Mbps)
->ADSL과 SDSL이 있다.
->ADSL은 가입자가 다운로드에는 높은 대역폭을 제공 반대방향은 낮은 대역폭
->SDSL은 양방향 동일한 대역폭제공
->항상 접속이 가능(ISP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보안에 노출된다는 단점)
Cable Modem ->텔레비전 신호를 보내기 위해 이미사용되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는 방법
->동축케이블모뎀은 tv신호와 데이터를 구분하는 스플리터가 있음
->양방향으로 최대 40Mbps정도의 고속 전송속도
->동축케이블을 여러사용자가 공유하는 버스형이기 때문에 가입자가 많으면(충돌) 전송속도가 떨어짐
->DSL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항상 접속이 가능(보안에 취약)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패킷을 쓰는건? X.25(네트워크계층)
*데이터링크 프로토콜로 패킷을 쓰는건? Frame Relay
*Dedicated point-to-point :Cisco HDLC, PPP, LAPB
*Packet Switched :X.25 / Frame Relay
*Circuit Switched :ISDN
*전송속도(몇 Mbps)까지 정확히 안외워도 됨
WAN Encapsulation
IP패킷을 WAN의 물리 계층으로 보내기 위해선->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데이터를 보내야 함->프레임으로 변환하여야 함 :이 과정을 캡슐화(Encapsulation)이라고 함.
*WAN마다 캡슐화 방법이 다르므로 사용하는거에 맞는 캡슐화방법으로 보내야함
HDLC - WAN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프레임 포맷
-HDLC 프레임은 에러가 많은 라인에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해주기 위한 방법
-에러제어와 흐름제어를 위한 신호 체계를 포함
Flag |
Address |
Control |
Data |
FCS |
Flag |
flag :01111110
Address :point-to-point 시리얼접속이므로 Address불필요
Control :전송할 데이터
I-type :전송할 데이터
S-type :흐름제어
U-type :링크제어
Data
FCS :에러 검사(CRC사용)
*(Frame Realy)데이터링크 캡슐은?->LAPF
*(X.25)네트워크계층 캡슐은?->LAPB
11. PPP(시리얼 링크로 연결된 두 컴퓨터 사이에서 IP패킷 이외의 다른 프로토콜패킷전송위해)
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은 전화선을 통해 IP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간단한 프로토콜이다.
-전화건 사용자를 인증하기에 적합한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IP주소의 동적 부여가 불가능
PPP계층
물리계층->전화선(비동기 시리얼 라인) V.35(동기 시리얼 라인) HSSI ISDN 이 사용가능 | |||||||
데이터링크계층->3계층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캡슐화, 오류 감지기능 포함 PPP의 프레임
Address =HDLC의 브로드캐스트주소 ‘11111111’ Control =U-frame을 나타내는 ‘00000011’ Protocol =PPP가 지원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을 구분하기 위한 값(ex:IPCP=0x8021[16진수]) Data and Padding =PPP만의 특성 중2번째 FCS =오류감지 |
PPP는 기능에 따라 LCP와 NCP로 나누어진다.
LCP의 종류 |
LCP PAP CHAP
|
NCP의 종류 |
IPCP OSI Network Layer CP Appletalk CP IPXCP |
LCP(Link Control Protocol)
LCP는 point-to-point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링크 설정 시
링크의 제어에 관한 선택사항을 협상, 설정, 감시, 디버깅, 해제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상황에서 point-to-point연결을 하기위해서는?LCP(링크제어[낮은걸로맞추기])
LCP 링크 설정 시 협상할 선택사항 |
* Maximum Packet Size(최대 패킷 사이즈) * Authentication(인증) : 서버에서 연결을 원하는 쪽의 ID를 인증할 것인지(PAP|CHAP) * Compression(압축) :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압축을 할 것인지 * Error Detection(에러감지) : 루프없는 신뢰 데이터링크인지 * Multilink(다중링크)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하나의 연결을 사용할 경우 load balancing을 위해 사용 * PPP callback : 보안을 증대하기위해(에러가 났을 경우 어디로 돌아갈지[시스템복구같이]) |
NCP(Network Control Protocol)
->하나의 통신 링크상에서 여러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의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
->대부분의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은 지원
->각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마다 독립된 NCP를 사용
PPP연결
*Idle(아무것도 안쓰는 단계) |
*Link Establishment Phase(설립단계) -LCP(연결 설정 중:협상) 프레임을 이용함 |
*Authentication Phase(인증단계[선택사항]) -인증프로토콜 결정(PAP와 CHAP중 뭐를 사용할지) -링크의 질이 네트워크계층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전달가능 여부 테스트 |
*Network Layer Protocol Phase(NCP동작 데이터주고받는 단계) -NCP프레임을 이용하여 사용할 네트워크계층프로토콜 결정 -LCP가 링크를 끊으면 이를 네트워크 계층에 알려서 조치를 취하게 함 |
*Terminating Phase(자원해제 단계) -연결 해제 단계. 연결해제프레임을 보내거나 오래동안 사용안하면 자동으로 연결해제됨. |
*자원설정이 완료되었으면 Terminating(자원해제)을 꼭 해주어야 한다.
PPP 인증방법 2가지
PAP -두 단계(Two-way handshake) 간단함. 별로 안 좋은 방법 이름과 비밀번호를 평문으로 전달 playback이나 trial-and-error공격에 취약 CHAP -PAP의 단점을 보완한 3단계 원격 노드는 challenge와 패스워드를 MD-5와 같은 1-way- hash함수를 이용해 서버로보냄 |
12. ISDN(통합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 -전화목소리,data,fax,짧은동영상 등.
전화망 자체가 디지털화 되면서 ISDN서비스를 전화망에서 서비스함.
단점- 너무 일찍 서비스를 시작하여 중구난방.. ->표준화를 시작했지만 잘 안되어 망함
ISDN Channels(길)
B channels(64kbps) -B(Bearer)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
D channels(16kbps) -D(Delta)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
별도로 추가의 대역폭(out-of-band signaling)
BRI(Basic :기본 서비스->데이터를 보낼 때 2B+D =192kbps용량 중 버려지는 부분을 제외하면
실제로 128(2B)+16(D)=144kbps의 유효 용량을 가짐
PRI(Primary :상위 서비스-> 기본 서비스인 BRI보다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 64kbps D채널을 사용
북미지역: 23B+D=(24*64)+64=1544kbps =1.544Mbps
유럽지역: 30B+D=(30*64)+64=2048kbps =2.048Mbps
ISDN 서비스
1960~1984년에 ITU-T에서 E, I, Q시리즈 권고안 발표
E-protocols ->ISDN을 위한 전화망 표준안
I-protocols ->ISDN에 대한 개념,용어,일반구조 등에 대한 표준안
Q-protocols ->시그널링에 관한 표준안
ISDN의 계층별 사용 프로토콜
|
D channels |
B channels |
3계층 |
Q.931 |
IP |
2계층 |
Q.921(LAPD) |
PPP / HDLC |
1계층 |
I.430(BRI) I.431(PRI) |
Physical Fomat
BRI의 경우 2B채널과 D채널이 하나의 물리적인 연결로 멀티플렉스되어 전송된다.
초당 4천개 전송->64kbps, 16kbps
LAPD (Q.921 2계층)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 HDLC의 변형
-PPP와 다르게 주소 필드의 I(전송할데이터), S(흐름제어), U(링크제어) 프레임을 모두사용
-주소 필드의 SAPI는 어떤 LAPD서비스가 3계층에 서비스되는지에 대한 구분
-TEL로 단말장치 구분
Q.931(3계층)
-UNI (유저/네트워크/인터페이스)에서의 표준
ISDN 장치와 단말점
TE1 :ISDN단말기(ISDN라우터, ISDN전화기) -BRI신호 TE2 :비 ISDN단말기(워크스테이션, 라우터, 전화기) TA :BRI 시그널로 변환하는 장치 NT2 :사용자 측의 모든 ISDN라인을 모아서 보내는 사용자교환장치 NT1 :BRI시그널을 ISDN시그널로 변환하는 장치 |
TE1->TA->TE2->NT2->NT1->LE
참조점
R 참조점 : 비 ISDN장비 (TE2)와 TA사이
S 참조점 : ISDN 장비 (TE1)와 TA사이
T 참조점 : 신호로는 S참조점과 유사하며 NT2와 ISDN네트워크 또는 NT1사이
U 참조점 : NT1과 전화회사소유의 ISDN 스위치 사이
ISDN 물리적 구성(S만제공 S&T제공 잘 구별할 것 .뭐가필요한지)
미국->사용자가 NT1을 제공->U가필요
유럽->전화회사가 NT1을 제공, 사용자는 S/T 제공
ISDN 구성
-Router는 통신하기 위해 switch type을 명시해야함 :ISDN의 스위치 type이 다양하므로
-SPID(BRI)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BRI 구성
-ISDN swich type명시 :(config)#isdn switch-type switch-type
-SPID설정(2B이므로 두 개의 SPID필요)
ldn: local dial directory number (Service Provider가 제공)
ISDN 구성 실습
interesting traffic 설정(전화망의 특성 때문에 연결)
-연결동작 안하다가 interesting traffic에 등록된 traffic이 오면 ISDN을 활성화
-한번활성화 되면 무슨 traffic이 오든 다 허용
-traffic이 없으면 작동 멈춤
13. Frame Relay (LAN-LAN연결방식 [X.25보다 업그레이드버전])
-Frame Relay 스위치는 원격 LAN에 접속하기 위하여 virtual circuit을 생성하여 연결
-데이터 링크계층에서 동작하고 LAPF프레임 포맷을 사용
-스타토폴로지사용(가는길을미리 만들어놓음/자원확보)
-LAN마다 사용자측에서는 DTE장비가 되는 라우터 또는 FRAD가 필요
-DCE장비와 시리얼 라인으로 연결
-DTE->DCE로 프레임을 보내면 Frame Relay를 통과하여 상대방DTE가 연결된 DCE->DTE로 전송
Fram Relay프레임 포맷
LAPF프레임 데이터 필드에 담아 전송
2바이트의 헤더에는 10비트의 주소에 해당하는 DLCI(2계층주소)등이 존재
두 장비를 이어주는 연결을 VC(가상서킷)이라하는데 가상서킷에는 SVC와 PVC가 존재한다. PVC를 많이쓴다.
DLCI와 원격지를 연관짓는 방법
1. map명령어를 통해하기
2. inverse ARP와 LMI상태 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하는방법
bandwidth
하나의 링크에 여러 개의 VC가 이용가능함에 따라 VC를 구분해야 할 필요성과 대역폭을 어떻게 나누어 쓸 것인가 고려해야 한다. 한 링크에 여러 VC가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미리 다른 VC와 공유하지 않는 사용가능한 대역폭을 할당받는다.
이 대역폭을 CIR이라고 한다.
CIR과 최대전송속도의 차를 EIR이라고한다
스위치의 큐에 쌓이는 프레임의 수가 어느 이상으로 증가하면 프레임의 수를 줄이기위해
나가는 프레임의 ECN 비트를 1로 한다
업 스트립으로 보내는 ECN은 FECN(Forward)
다운 스트림으로 보내는 ECN은 BECN(Backwawrd)이라고 한다.
ECN이1 인값을 받은DTE는 폭주가 사라질때까지 프레임을 줄여나간다.
DTE에서 네트워크상태정보를 동적으로 알기위한 방법LMI가 있다
'삶의 늪에 들어 가기 전 > 정리중(미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포트 - 공학윤리] 공학윤리의 관점에서 본 킬위드미(Kill with Me) (0) | 2014.12.14 |
---|---|
[포토샵] Life is Cool (0) | 2014.12.11 |
[세계문명과 성경2] 기말고사 시험 정리 (0) | 2014.12.10 |
[인터넷보안]기말고사 시험 정리 (0) | 2014.12.07 |
[컴퓨터 정보학의 이해]기말고사 시험 정리 (0) | 2014.12.06 |